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케이팝 데몬 헌터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모티브 === * [[HUNTR/X|헌트릭스]]의 [[로고]]는 한국의 전통 장신구인 [[노리개]]의 전통 [[매듭]] 부분 형상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 된 것이다. 헌트릭스의 [[https://www.instagram.com/p/DLRLeg4RWgR/?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공식 응원봉]]에도 이 로고가 쓰였다. 그리고 평상시 모습에서도 멤버들마다 각자 다른 디자인의 [[https://x.com/joune5064/status/1936913375994507367|노리개]]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작진에 따르면 헌트릭스 멤버들의 노리개는 귀엽고 현대적인 느낌을 첨가하여 디자인하였으며 반면에 헌트릭스의 멘토인 셀린의 노리개는 전통적인 스타일을 유지했다고 한다.] * 시대 별로 퇴마사의 무기는 다 다른데, [[https://x.com/blauereiter/status/1936471337478053977|1세대 헌터들]]이 사용했던 [[https://x.com/joune5064/status/1936936947899150607|무기]][* 석장은 기존의 고리가 아닌 무당의 방울을 달아 변형했으며 무당들이 쌍검을 들고 [[검무]]를 춘 것에 기인한 쌍검술, 우리나라의 전통 활인 각궁을 각각 모티브로 했다.]는 각각 [[석장]], 쌍검[* 날 부분의 모양이 [[임진왜란]] 당시 일등공신이었던 파주 목사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3802630000|김명윤 유품 쌍검]]과 동일한 디자인이다.], [[각궁]]이었다. * ||<table width=450><nopad> [[파일:조이_단도.png|width=100%]] || 작중 묘사되는 조이의 무기는 [[무당]]이 쓰는 무구인 [[신칼#s-2]]이다.[* 대(大)신칼의 형태. 조이의 경우 소환형 무기라는 점을 백분 활용하여, [[나이프 스로잉|투척]] 후 [[갬빗|다시 소환하는 식]]으로 [[비도]] 형식을 병행하여 전투에 사용한다. 디렉터는 한국적 이미지를 참고했다는 컨셉 아트를 밝히며, 제작진에게 '[[쿠나이]]나 [[수리검]]처럼 보이지 않도록 해 달라'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https://x.com/celinekim218/status/1936927265755201739|참고 링크]] 서구권에선 동양 무술이나 무기에 대한 몰이해가 많고 동양무술+비도술=닌자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table width=450><nopad> [[파일:미라 월도 .jpg|width=100%]] || 미라의 무기인 [[월도#s-3.1.1|곡도]]는 [[가야]]의 곡도를 모티브로 한 컨셉 아트가 공개되었다. * 악령 세계에서 탄생한 보이그룹 [[Saja Boys|사자 보이즈]]는 [[1세대 아이돌|1세대 보이그룹]] [[H.O.T.]]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youtube(77p6_u29MoI)] 매기 강 감독은 캐나다 매체 [[캐나다 방송 협회|CBC]]와의 인터뷰에 H.O.T.는 자신이 성장하며 존경했던 원조 아이돌 그룹이라며, H.O.T.가 밝고 경쾌한 싱글을 발표한 후 한두 달 동안 활동을 쉬었다가 다음 싱글에서는 어둡고 날카로운 분위기로 돌아온 경험이 '사자 보이즈'에 녹아 있다고 말하면서 "팬으로서 이러한 경험이 궁극적으로 기억에 남았고, 그것을 영화에 반영하고 싶었다"라고 밝혔다.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052/0002234629|#]] * [[Saja Boys|사자 보이즈]]의 모티브인 '창백한 얼굴에 검은 [[도포]][* 작중에선 [[소창의]]에 가깝게 묘사된다.]을 입고 [[갓]]을 쓴' [[저승사자]]는 1970년대 말 [[전설의 고향]] 시리즈에서 처음 묘사된 후 근현대에 정착한 이미지다. 그렇다고 해서 해당 묘사가 '가짜'라거나 틀린 것은 아닌데, 50년간 지속되어 온 이상 근현대에 변화한 형태도 그 자체로 학술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시로, 한국의 전통 요괴는 아니지만 비교적 이른 시기, 현대에 창작된 요괴 [[장산범]]도 '구전과 소문이 설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 덕분에 학술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다. [[부대찌개]] 또한 소시지와 햄이라는 6.25 전쟁 이후 미군부대를 통해 유입된 서양 식재료가 사용된 20세기 음식임에도 불구하고 한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실제 전승에 의하면 갓을 쓴 [[선비]]의 모습보다는 [[단령]]을 입은 고귀한 중앙 [[관료]]의 모습이나 근엄한 갑옷과 무기를 찬 채 말타고 다니는 장군의 모습이었다.[* 현대 이전의 저승사자의 모습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입었던 관복의 한 종류인 단령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저승사자가 단순히 영혼을 데려가는 존재가 아니라, 저승의 공무원이자 판관의 역할을 수행하는 고귀한 존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엔 들어서는 [[갑주]][* 갑옷과 투구를 함께 아울러 가리키는 말]가 ‘정복’이고, 검은 도포와 검은 정장이 각각 전근대와 현대의 ‘활동복’이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웹툰 [[신과함께]] 및 이를 원작으로 한 [[신과함께 실사영화 시리즈|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이러한 설정으로 표현했다.] 사실 작중의 (전설의 고향식) '저승사자 복장'은 그냥 무대 의상이고, 사자 보이즈의 원래 모습은 평상복에 흑립을 쓰고 쾌자를 걸치고 있다. * 전령으로 나오는 까치와 호랑이는 조선의 민화인 [[까치호랑이|까치호랑이(작호도)]]가 [[https://x.com/radsechrist/status/1936258617847717903|모티브]]이다. 하는 짓은 영락없는 집고양이이지만 특유의 호랑이 그림체를 잘 살렸다는 반응을 얻었다. 작중에서 귀마 관련 능력은 붉은빛인데 이 호랑이의 털 색이나 공간이동 능력을 쓸 때 나오는 빛은 혼문이나 헌터들이 능력을 사용할 때 나오는 푸른빛과 똑같다. 이 떡밥은 해결되지 않았다.[* 원본인 까치호랑이는 학계에서 벽에 걸어 잡귀를 쫓기 위해 만들어진 그림이라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호랑이의 눈이 사팔뜨기인 이유도 호랑이를 [[탐관오리]] 등 권력자에 비유하여 바보같이 그리려는 목적도 있지만, 어느 시점에서 보더라도 바라보는 사람을 똑같이 바라보도록 그려져 있기에 집 안에 들어오는 침입자나 잡귀 등을 놀래켜 쫓아내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 그래서 초반부 진우가 호랑이를 끌고 올 때 악령들이 두려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악령들의 디자인은 괴수와 같은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도깨비 기와의 모습[* 축구대표팀의 공식 서포터즈 상징인 붉은악마와 비슷한 형상], [[탈춤]]에 쓰이는 노장탈이나 각종 전통 탈 등을 활용하여 서양식 카툰 스타일로 재해석한 묘사로 보여진다. * ||<table width=450><nopad> [[파일:1000012014.jpg|width=100%]] || 진우의 400년 전 회상씬에서 궁에 들어갈 때 왕이 중전과 함께 용상에 같이 앉아 있는 장면이 나오는데,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가 아닌 보료를 깔고 바로 앉은 모습, 조정 중신들의 흉배가 달린 붉은 관복[* 왕이 용상 위에 용교의 없이 바로 앉거나 조정 중신들의 흉배 달린 붉은 관복은 한국 사극에서도 나타나는 흔한 역사적 구현 오류이기도 하다. 붉은색 관복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붉은 관복은 공식 석상이 아닌 일반 집무용 의상이었고 흉배가 달려 있지 않았다. 400년 전인 조선 중후기 당시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가슴에 흉배가 달린 아청색의 흑단령을 착용했다. [[https://blog.naver.com/dndudwp99/221350375059|#]]], 뒷배경의 궁녀들의 배치와 함께 명백한 역사적 구현 오류 장면으로 꼽히지만, 이는 영화 [[왕의 남자]]에서 [[:파일:1000012015.jpg|연산군이 장녹수를 옆에 끼고 어좌에 앉아 있는 장면]]에서 레퍼런스를 따온 장면이다. [[https://youtu.be/QEWqMn9mf98?t=207|#]] 그래서 진우가 살던 시대가 사실은 400년 전 인조 시대가 아닌 연산군 시대가 아니었냐는 이야기도 있다. * 작중의 헌터들은 세대마다 새로 [[3인조]]가 선발되어 춤과 노래의 힘으로 사람들의 유대를 연결하여 악령을 막아낼 장벽인 '혼문'을 세우는 임무를 전승해 간다. 여기에 [[https://x.com/warden_sasha/status/1936049420958851143|한국 대중가요 역사상의 걸그룹 발전사]]를 접목하여 표현했는데, [[https://x.com/galaxyspeaking/status/1937021370816426305|선배 세대들]]의 모티브는 한반도 최초의 걸그룹 [[저고리 시스터즈]], 최초의 한류가수로 분류되는 [[김시스터즈]], 70년대 3인조 걸그룹 [[희자매]], 80년대 댄스 뮤직을 주 콘셉트로 삼은 최초의 걸그룹이라 할 수 있는 [[세또래]]로 추정된다. 또한 [[HUNTR/X|헌트릭스]] 바로 이전 세대의 퇴마사 '선라이트 시스터즈'들은 90년대 후반의 [[1세대 아이돌|1세대 걸그룹]]으로 표현되는데 [[S.E.S.]][* 실제로 그룹명 '선라이트 시스터즈'를 SunLight Sisters, 즉 S.L.S로 축약할 수 있다.]에 대한 레퍼런스라고 한다. 흡사한 헤어스타일에 더해 시기상으로도 적합한 것이 90년대에 아이돌을 했던 당사자들이 20대 중후반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았다면 그 딸이 3~4세대 아이돌로 데뷔할 나이가 되기 때문이다.[* 1세대 아이돌의 자녀가 데뷔한 케이스는 아직 없지만, 그들보다 몇 년 이른 90년대 초에 활동했던 가수들의 2세가 아이돌로 활동 중인 사례는 있다.] * 미라가 패션쇼에서 선보였던 침낭패션은 [[캠핑클럽]]에서 선보였던 [[핑클]]의 리더 [[이효리]] 모습이 연상된다. 그리고 그녀는 실제로 시상식 영상에서 이불 드레스를 선보였다. * 작중 등장인물들이 현실의 특정 연예인이나 그룹을 참조하여 제작되었다는 기사가 있지만,[[https://www.forbes.com/sites/laurasirikul/2025/06/19/director-maggie-kang-reveals-who-inspired-kpop-demon-hunters-characters/|포브스]] 메기 강 감독의 X에 따르면 기사에 나온 아이돌 이름은 인터뷰어가 언급한 것이고 메기 강 본인은 아이돌 개인을 특정해서 말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https://x.com/maggiemkang/status/1938683539135791189|메기 강 X]] * 영화 중간에 나오는 '우리랑 놀자!' 버라이어티 쇼는 [[형돈이와 대준이]]가 진행했던 [[주간 아이돌]]의 패러디이다. 동시에 [[HUNTR/X|헌트릭스]]가 타고 내려오는 미끄럼틀과 볼풀은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의 아이덴티티인 미끄럼틀 세트의 패러디로 보인다. * 서구권에서는 [[3인의 법칙|세 명의 여성 팀으로 구성된 전투원]]을 주력으로 다루는 특징과 개그 분위기 때문에 [[파워퍼프걸]][* 작중에서도 초반에 팬들이 입은 옷들 가운데 파워퍼프걸 분위기로 헌트릭스가 그려진 윗옷이 있다.] 내지 [[Totally Spies!]](舊 말괄량이 삼총사, 現 스파이 삼총사) 등의 작품을 한국식으로 만든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물론 이 분야의 원전은 [[미녀 삼총사]]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